코로나와 비대면(Untact)이 일상화하면서 더욱더 확대된 흐름이 HOLO입니다. HOLO란 Health care(건강관리 제품), Oversize(대용량 구입), Life at home(집에서 쓸 물품들), Onlie shopping(온라인 구매)를 말하는 데 작년 이후 엄청나게 강화된 측면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건강식품이나 면역 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집콕이 일상화하면서 한번 구입 시 대용량을 구입하게 되고, 제품들의 주류는 집에서 소비하게 될 물품들이나 재택근무 시 필요한 물품들 위주로 온라인 구매 경향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HOLO라는 단어는 사실 작년 상반기 이베이 코리아가 코로나 이후 쇼핑 트렌드를 분석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단어입니다. 노후준비나 미래에 대한 축적 대신 현재를 ..
지구의 대기를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소는 산소와 질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들은 한결같이 우주에서는 산소가 공급되는 헬멧을 쓰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기권 바깥의 태양계, 은하계 등의 우주를 이루고 있는 대기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대기 원소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수소와 헬륨이며, 우주속에는 지구의 대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산소와 질소가 매우 희박합니다. 아래의 도표는 우주 대기의 구성 성분입니다. 대략 우주에 수소 원자와 헬륨 원자가 약 12:4 = 3:1의 질량비로 분포하며, 이때 헬륨이 차지하는 질량은 약 25%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비율은 빅뱅 직후 우주는 양성자와 중성자로, 양성자와 중성자는 다시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을..
백기사(White knight)란 기업들 간에 적대적 인수, 합병(M&A)이 진행되는 경우 현재의 경영진들이 가진 경영권의 방어에 우호적인 주주들을 말합니다. 2003년 외국계 자본인 소버린이 SK 지분 15%를 보유하고 경영권을 인수하려고 하자 신한, 하나, 산업은행이 SK의 백기사 역할을 해 적대적 M&A를 막은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지분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경우에는 적대적 M&A에 대비해 미리 백기사를 확보하기도 합니다. 2008년 12월 국민은행과 포스코가 3천억 규모의 자사주를 맞교환한 과정에서 확보한 KB금융지주 지분이 있지만 모회사 주식은 자기 자본으로 인정되지 않아 포스코 주식과 맞교환했습니다. 타사 주식은 투자유가증권으로 분류돼 자기 자본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국민은행은 국제결제은행(..
얼마 전 BTS가 개량 한복을 입고 콘서트를 하고, 이후의 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복은 한국의 문화(Korean culture)"라고 쐐기를 박아 버린 일이 뉴스에 나왔는데 정말 멋지다고 생각했습니다. 우측에는 독도와 동해를 없애려는 사람들이 살고, 우측에는 한복과 김치를 없애려는 사람들이 살고 우리나라는 참 이웃복이 없나 봅니다. 이일 이후에 중국 아미들 덕에 그래미 어워드가 있었던 것이고, 한복과 김치는 중국 것이라는 대꾸하기도 싫은 정부 주도의 막말을 중국 네티즌들과 함께 쏟아내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사람들이 주장하는 한복이 자기들 것이라는 주장의 시기는 중국 명나라입니다. 명나라때부터 입던 자기네 옷이 한복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명나라와 동시대는 조선이고 이미 한복은 고구려 때부터 입던 우..
간단히 말하면 서로 양보하지 않을 경우 모두가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는 게임 이론입니다. 1950년대 미국의 자동차 게임 이론에서 유래하였는데, 서로 같은 곳을 향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게 될 때까지 둘 중 어느 누구도 양보하지 않으면 결국은 사고가 일어나 모두 죽게 될 것이며, 충돌이 무서워 핸들을 꺾는 쪽은 겁쟁이로 간주되는 게임을 말합니다. 치킨은 겁쟁이를 의미하는 속어로도 쓰이는 데서 유래합니다. 제임스 딘이 출연했던 영화 이유 없는 반항에서도 제임스 딘에게 질투심을 느낀 상대방이 "너 치킨런 해본 적 있냐?"라고 말하자 제임스 딘이 "항상 하는 일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실제로 영화 속에서 치킨런 게임 도중 딘에게 도발했던 상대방이 무서워지자 달리는 도중 차에서 뛰어..
자기 자본비율(Capital adequacy ratio)이란 총자산 중에서 자기 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한 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자기 자본은 직접적인 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안정된 자본이므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탄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일반화된 단어인 은행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은 은행의 위험 증가 중 자산에 대한 자기 자본의 비율을 말합니다. 1987년 재정된 국제결제은행의 국제통일 기준에서 금융의 자유화, 국제화에 따라 국제적인 경쟁조건의 평준화 및 건전성 규제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8%의 최소 자기 자본비율 제도를 도입하였고, 국제금융시장에 참여하..
할로윈 데이는 동양권에는 없었던 서양권의 기념일로 매년 10월 31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할로윈의 유래를 중점적으로 살펴 보고 우리의 입장에서 수용해도 좋은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1. 할로윈 데이의 유래 10월 31일 할로윈(HeIIoween) 데이는 11월 1일이 기독교의 축하일인 「성인의 날」 「만성절 '(All Hallo) 전야제(All Hallo Eve)라는 뜻으로, 기원전 5 세기 경 켈트족이 하던 축제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켈트족은 11월 1일에 달력이 바뀌기 때문에 10월 31일 한해의 전환기에 해당했습니다. 켈트족은 이날을 서우인(Samhain)이라고 불리는 축제의 날로 정하고 죽음과 유령을 찬양했습니다. 겨울이 시작되고 새해가 시작되는 11월1일을 맞이하는 1..
자동차에는 가로무늬 또는 세로무늬로 홈이 파여 있습니다. 이러한 홈의 방향에 따라 이름이 제각기 다르고 하는 역할도 조금씩 다릅니다. 자 그럼 자동차 타이어에 파인 홈을 함께 파봅시다. - 트레드(Tread) 자동차 타이어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 외부로 보이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보통 홈들이 파이게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흘레라는 뜻도 있지만, 밟다, 걷다 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트레드는 타이어에서 외피 부분을 의미하는 구조 분류의 개념입니다. -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 타이어의 진행 방향과 같은 세로 줄무늬, 직각 방향의 가로 줄무늬, 교차하는 듯한 벌집 모양의 줄무늬 등 여러 방식으로 홈이 파여 있는 데, 이러한 모양들을 통칭하여 트레드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트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