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며칠 남지 않은 오늘 가물가물하게 잊혀 가던 24절기를 다시 정리해 보았습니다. 24절기는 한 해를 24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을 말하며 한 해 가운데서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나 때를 의미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등지에서 계절을 표시하기 위해 1년을 황경을 따라 15° 간격으로 24 등분하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 부른 것을 말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시기에 중국에서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중국에서 주나라때 책력을 기반으로 24절기가 만들어졌다고 하는 데, 책력을 만든 사람은 우리의 고대 조상뻘인 동이족으로 알려진 희화자(羲和子)라는 사람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결국은 동이족에게서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절기의 다른 이름으로 절후 혹은 시령이라는 명칭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
코로나와 비대면(Untact)이 일상화하면서 더욱더 확대된 흐름이 HOLO입니다. HOLO란 Health care(건강관리 제품), Oversize(대용량 구입), Life at home(집에서 쓸 물품들), Onlie shopping(온라인 구매)를 말하는 데 작년 이후 엄청나게 강화된 측면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건강식품이나 면역 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집콕이 일상화하면서 한번 구입 시 대용량을 구입하게 되고, 제품들의 주류는 집에서 소비하게 될 물품들이나 재택근무 시 필요한 물품들 위주로 온라인 구매 경향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HOLO라는 단어는 사실 작년 상반기 이베이 코리아가 코로나 이후 쇼핑 트렌드를 분석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단어입니다. 노후준비나 미래에 대한 축적 대신 현재를 ..
우주 왕복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대기권에서 지구로 진입하는 각도를 진입각도라고 하며, 보통 37도에서 43도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보통 최적의 진입 각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40도를 말합니다. 그 이유는 각도가 대기권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우면 엄청난 압력과 마찰력이 가해지게 되며, 반대로 수평에 가까우면 대기권에서 한 번에 진입하지 못하고 마치 수면 위로 던진 돌이 통통 튀듯이 계획된 궤도에서 벗어나는 사고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주 왕복선은 대기권에 진입하기전 약 시속 40,000KM로 날아오며, 이 상태로 대기권에 들어서게 되면 대기와의 마찰로 인해 약 섭씨 1,650도(화씨 3,000도)까지 올라갑니다. 이때, 만일 대기권에 대하여 직각으로 하강하게 되면 속도는 가속되고 ..
화성(Mars)은 태양계에서 지구 다음에 있는 4번째의 행성이며,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불화(化) 자를 써서 화성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Mars는 서양에서 부르는 이름으로 로마 신화에 나오는 전쟁의 신의 이름입니다. 화성은 지구와 7800만 Km 떨어져 있으며, 크기는 지구의 반 정도이고, 대기의 96% 정도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간에게 필수 불가결한 산소는 약 0.146%에 불과합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화성에서 어떻게 인간이 숨을 쉬고 물을 먹을 수 있게 만든다는 건지 화성 식민지 계획의 구상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 전기차를 만들고 올해초 세계 최고의 갑부로 등극한 앨론 머스크는 2050년까지 인구 100만이 거주하는 화성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가 개발..
지구의 대기를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소는 산소와 질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들은 한결같이 우주에서는 산소가 공급되는 헬멧을 쓰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기권 바깥의 태양계, 은하계 등의 우주를 이루고 있는 대기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대기 원소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수소와 헬륨이며, 우주속에는 지구의 대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산소와 질소가 매우 희박합니다. 아래의 도표는 우주 대기의 구성 성분입니다. 대략 우주에 수소 원자와 헬륨 원자가 약 12:4 = 3:1의 질량비로 분포하며, 이때 헬륨이 차지하는 질량은 약 25%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비율은 빅뱅 직후 우주는 양성자와 중성자로, 양성자와 중성자는 다시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을..
실험실의 유리용기 안에서 오랜 시간 동안 청소하지 않아 액체였던 질산셀룰로오스 용액이 말라비틀어졌을 때 단순 사고로 이 용기가 깨졌고, 이 순간은 안전 강화유리가의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순간이었습니다. 에두아르 베네딕티스(Edouard Benedictus, 1878~1930)는 프랑스의 과학자로 실험실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 실수로 책상 위에 있던 유리 플라스크를 건드려 바닥에 떨어 트렸습니다. 그런데 예상과는 달리 그 플라스크는 유리 파편이 사방으로 튄 게 아니라 그 형체를 깨지지 않았을 때와 비슷하게 파손된 상태에서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내용물을 살펴보니 그 플라스크 용기는 질산 셀룰로오즈 용액을 담아 두었던 플라스크인데 오랜 시간 방치된 탓에 꾸덕꾸덕하게 굳어 있었고, 질산 셀룰로오즈 막이 형성되어 ..
백기사(White knight)란 기업들 간에 적대적 인수, 합병(M&A)이 진행되는 경우 현재의 경영진들이 가진 경영권의 방어에 우호적인 주주들을 말합니다. 2003년 외국계 자본인 소버린이 SK 지분 15%를 보유하고 경영권을 인수하려고 하자 신한, 하나, 산업은행이 SK의 백기사 역할을 해 적대적 M&A를 막은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지분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경우에는 적대적 M&A에 대비해 미리 백기사를 확보하기도 합니다. 2008년 12월 국민은행과 포스코가 3천억 규모의 자사주를 맞교환한 과정에서 확보한 KB금융지주 지분이 있지만 모회사 주식은 자기 자본으로 인정되지 않아 포스코 주식과 맞교환했습니다. 타사 주식은 투자유가증권으로 분류돼 자기 자본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국민은행은 국제결제은행(..
얼마 전 BTS가 개량 한복을 입고 콘서트를 하고, 이후의 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복은 한국의 문화(Korean culture)"라고 쐐기를 박아 버린 일이 뉴스에 나왔는데 정말 멋지다고 생각했습니다. 우측에는 독도와 동해를 없애려는 사람들이 살고, 우측에는 한복과 김치를 없애려는 사람들이 살고 우리나라는 참 이웃복이 없나 봅니다. 이일 이후에 중국 아미들 덕에 그래미 어워드가 있었던 것이고, 한복과 김치는 중국 것이라는 대꾸하기도 싫은 정부 주도의 막말을 중국 네티즌들과 함께 쏟아내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사람들이 주장하는 한복이 자기들 것이라는 주장의 시기는 중국 명나라입니다. 명나라때부터 입던 자기네 옷이 한복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명나라와 동시대는 조선이고 이미 한복은 고구려 때부터 입던 우..
1. 계란 껍데기를 이용한 미니화분 계란을 위쪽으로만 깨서 내용물을 빼 요리한 다음 껍데기는 미니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란 안쪽에 배양토나 톱밥 같은 것을 적당히 채운 다음 작은 화초류의 씨앗을 넣습니다. 그다음 적당량의 물을 주고 계란을 병뚜껑 같은 것에 올려두고 햇빛이 잘 드는 따뜻한 곳에 둡니다. 일주일에서 보름 정도가 지나면 계란 껍데기는 예쁜 미니 화분이 됩니다. 2. 페트병을 활용한 물빠짐 화분 화초의 크기에 알맞는 크기의 페트병을 적당히 위아래로 잘라낸 다음 병뚜껑 부분은 드릴을 이용해 구멍을 낸다음 빨대를 꼽습니다. 그다음 잘라낸 윗부분을 뒤집어 아래쪽에 끼워 넣고 배양토나 흙으로 채웁니다. 그리고 화초를 심은 다음 물을 주면 초과된 물은 아래쪽으로 있는 페트병 부분에 모이게 됩..
올해 상반기에 중국에서 제조한 스마트폰 신제품 원플러스 8프로의 컬러 필터 카메라가 논란에 휩싸였던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컬러 필터 카메라가 가시광선 외에 적외선 파장을 찍을 수 있는 500만 화소 근적외선 카메라였다는 데 있습니다. 이 카메라로 특정 상황에서 얇은 옷을 찍으면 옷 안까지 찍히는 ‘투시 카메라’로 악용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문제가 돼자 원플러스측은 ‘컬러 필터 카메라의 원래 기능은 사진에 고유한 질감과 파장을 담는 것’이라고 해명했고, 이어 컬러 필터 카메라가 투시 카메라로 악용될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위 기능을 강제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몰카 자체가 불법으로 처벌받는 세상에 몰카에 투시 카메라로 쓰일 수 있는 기능을 공개적으로 생산하고 광고했으니 욕먹을..
간단히 말하면 서로 양보하지 않을 경우 모두가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는 게임 이론입니다. 1950년대 미국의 자동차 게임 이론에서 유래하였는데, 서로 같은 곳을 향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다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게 될 때까지 둘 중 어느 누구도 양보하지 않으면 결국은 사고가 일어나 모두 죽게 될 것이며, 충돌이 무서워 핸들을 꺾는 쪽은 겁쟁이로 간주되는 게임을 말합니다. 치킨은 겁쟁이를 의미하는 속어로도 쓰이는 데서 유래합니다. 제임스 딘이 출연했던 영화 이유 없는 반항에서도 제임스 딘에게 질투심을 느낀 상대방이 "너 치킨런 해본 적 있냐?"라고 말하자 제임스 딘이 "항상 하는 일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실제로 영화 속에서 치킨런 게임 도중 딘에게 도발했던 상대방이 무서워지자 달리는 도중 차에서 뛰어..
자기 자본비율(Capital adequacy ratio)이란 총자산 중에서 자기 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한 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자기 자본은 직접적인 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안정된 자본이므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탄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일반화된 단어인 은행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은 은행의 위험 증가 중 자산에 대한 자기 자본의 비율을 말합니다. 1987년 재정된 국제결제은행의 국제통일 기준에서 금융의 자유화, 국제화에 따라 국제적인 경쟁조건의 평준화 및 건전성 규제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8%의 최소 자기 자본비율 제도를 도입하였고, 국제금융시장에 참여하..
할로윈 데이는 동양권에는 없었던 서양권의 기념일로 매년 10월 31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할로윈의 유래를 중점적으로 살펴 보고 우리의 입장에서 수용해도 좋은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1. 할로윈 데이의 유래 10월 31일 할로윈(HeIIoween) 데이는 11월 1일이 기독교의 축하일인 「성인의 날」 「만성절 '(All Hallo) 전야제(All Hallo Eve)라는 뜻으로, 기원전 5 세기 경 켈트족이 하던 축제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켈트족은 11월 1일에 달력이 바뀌기 때문에 10월 31일 한해의 전환기에 해당했습니다. 켈트족은 이날을 서우인(Samhain)이라고 불리는 축제의 날로 정하고 죽음과 유령을 찬양했습니다. 겨울이 시작되고 새해가 시작되는 11월1일을 맞이하는 1..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체의 낙하속도는 질량에 비례하므로 10kg짜리 쇠구슬은 1kg짜리 쇠구슬보다 10배의 빠른 속도로 낙하한다고 하였습니다. 그 후, 갈릴레이는 "10kg짜리 쇠구슬과 1kg짜리 쇠구슬을 끈으로 묶어서 떨어 트리면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에 의하면 10kg까지 쇠구슬보다 더 무거운 11kg 쇠구슬 연결체는 더 빨리 떨어져야 하지만, 오히려 더 느려진다."라고 반박했습니다. 그리고, 10kg짜리와 1kg짜리 쇠구슬은 거의 같은 속도로 떨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지구에서 낙하하는 모든 물체는 공기와 마찰하는 공기저항을 받게 됩니다. 대기와의 마찰시 물체의 속력은 일정한 값 이상으로 빨라지지 못하는 데 , 낙하 시에 가속도가 붙어도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더 이상 빨라질 수 없는 한계 속력을 '종속력'..